Search

서울 집값이 미쳤다…"앞으로가 더 문제" 서민들 패닉 - 한국경제

집값 어쩌나…내년 서울 입주물량 34% 감소

올해 3만1211가구→내년 2만463가구…공급난 갈수록 심화
올 예정단지 절반이 연내 분양 불투명…집값 14개월째 상승

분양가 산정 등으로 연내 분양 여부가 불투명한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후 규모가 1만2032가구에 달하는 초대형 단지다. 김범준 기자

분양가 산정 등으로 연내 분양 여부가 불투명한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후 규모가 1만2032가구에 달하는 초대형 단지다. 김범준 기자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작년의 절반 이하로 급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예정됐던 서울 아파트 공급 4만2400가구 중 절반가량은 연내 분양이 불투명하다. 정부가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등에 나서고 있지만 서울 물량은 여전히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1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올해 말까지 8842가구, 내년 2만463가구로 집계됐다. 내년에는 올해 물량 3만1211가구에 비해 34.4% 감소하는 셈이다. 4만9359가구에 달했던 작년과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 미친다.

분양이 지연되는 사업장이 잇따르고 있어 입주 물량은 더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서울에서 분양을 예정했던 4만2400가구(총가구 수 기준) 가운데 아직 시기를 못 정한 물량은 2만2900가구다. 분양가 규제 등으로 강동구 둔촌주공(1만2032가구), 서초구 방배동 방배6구역(1131가구) 등 대형 단지의 연내 분양은 이미 물 건너갔다는 얘기가 나온다. 서울 공급난은 이번 정부가 출범 초기부터 연이은 규제로 재건축사업을 막은 결과라는 지적이다. 지난해 서울 민간분양 인허가 물량은 5만522가구로 2010년(4만2102가구) 후 가장 적었다.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던 2015년(9만6651가구)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올해 상반기 실적은 3만3000여 가구다.

올 상반기 서울에서 공사를 시작한 아파트도 1만2300여 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5% 쪼그라들었다. 최근 5년 평균 대비 35.7% 줄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가 뒤늦게 공급 확대에 나서고 있지만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입주까지는 최소 5년 이상 걸릴 것”이라며 “그나마 서울 물량이 적어 집값 불안이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지난달 서울의 주택 종합(아파트·단독·연립주택 포함) 매매가격은 0.60% 올라 전월(0.49%)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고 이날 발표했다. 작년 6월 이후 14개월 연속 상승세이자 지난해 7월(0.71%) 후 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비수기에도 계속 뛰는 서울 집값…"분양도 입주도 턱 없이 부족"
7월 주택가격 0.6% 상승…1년 만에 최대폭 치솟아
본격적인 여름휴가가 시작되는 7월은 부동산 시장의 비수기로 분류된다. 주택 매매와 전세 가격 모두 상대적으로 안정된 흐름을 보이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올해는 예년과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지난달 서울 주택(아파트·단독·연립주택 포함) 매매 가격이 0.60% 급등하며 1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갈아치웠다. 서울은 작년 6월부터 14개월 연속 오름세다. 이 같은 과열은 3기 신도시 등 공급 확대 정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지역의 공급 부족 우려가 여전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서울 집값이 미쳤다…"앞으로가 더 문제" 서민들 패닉
서울 집값 14개월 연속 상승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주택 종합 매매 가격은 0.60% 올라 전월(0.49%)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지난해 7월(0.71%) 후 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 집값은 작년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0.17%→0.26%→0.40%→0.51%로 4개월 연속 상승폭이 커졌다가 ‘2·4 대책’ 영향으로 3월 0.38%, 4월 0.35%로 두 달 연속 줄었다. 하지만 야당 소속인 오세훈 서울시장이 당선된 이후인 5월부터 다시 반등을 시작했다. 5월 0.40%, 6월 0.49% 상승한 데 이어 지난달에도 상승폭을 추가로 키웠다.

서울 외곽 등 저가 단지만 오른 게 아니다. 재건축 수요 등이 있는 강남권 고가 단지들도 골고루 가격이 오르고 있다. 25개 자치구 가운데 노원구(1.32%)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도봉구(1.02%), 강남·서초구(0.75%), 송파·강동구(0.68%), 동작구(0.63%), 영등포구(0.62%)가 뒤를 이었다.

전세 가격 역시 불안한 흐름을 이어갔다. 서울 주택 전세 가격은 0.49% 올라 전월(0.36%) 대비 2개월째 오름폭을 키웠다. 0.42%를 기록한 지난 2월 상승폭을 5개월 만에 다시 갈아치웠다.

전문가들은 현재 주택 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데다 각종 규제로 ‘앞으로도 이 같은 현상이 이어질 것’이란 심리적 불안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서울 재건축 단지에서 나온 일반분양 물량은 275가구에 그쳤다. 3월 광진구 자양동 ‘자양 하늘채 베르’(51가구)와 6월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224가구)가 전부였다. 작년 같은 기간(1830가구)에 비해 85% 급감한 규모다. 지금이라도 재건축 규제를 풀지 않으면 부동산 시장 불안이 2~3년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둔촌주공 등 분양 시기 못 정해
문제는 이 같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분양가 규제로 일정이 지연되는 사업장이 잇따르고 있어서다. 분양물량 감소는 2년 후 입주물량 부족으로 이어진다. 매매가뿐 아니라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전세난도 심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1만2032가구 규모의 강동구 ‘둔촌주공’(일반분양 4841가구)이 대표적이다. 당초 지난해 분양이 예정됐던 이 단지는 당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의 분양가 갈등으로 분양시기를 연기했다. 하지만 올해도 분양가 상한제 등 규제로 인해 조합원 간, 조합원과 시공사 간 갈등이 불거졌다. 분양업계에서는 연내 분양도 물 건너갔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이 외에도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15차(641가구) △방배동 방배6구역(1131가구) △장위10구역재개발(2004가구) 등 20개 단지의 2만3000여 가구가 공급 시기를 확정하지 못했다.

올 상반기 서울에서 착공한 아파트도 1만2300여 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5%, 5년 평균보다는 35.7% 쪼그라들었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과거에는 인허가 이후 곧 착공과 분양이 이뤄졌지만 최근에는 각종 규제로 시간이 더 걸리고 있다”며 “단지들이 실제 겪는 애로를 해결해 공급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유정/신연수 기자 yjlee@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block test (Why?)

소스 뉴스 및 더 읽기 ( 서울 집값이 미쳤다…"앞으로가 더 문제" 서민들 패닉 - 한국경제 )
https://ift.tt/37PJooc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서울 집값이 미쳤다…"앞으로가 더 문제" 서민들 패닉 - 한국경제"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