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단독] "페북관리 하라고 8천억 쏟아부은 꼴?"…청년 5만명 채용 디지털일자리 논란 - 매일경제

서울의 한 고용센터 게시판에 12일 정부의 청년일자리사업을 홍보하는 게시물이 부착돼 있다. 이 사업을 통해 채용된 청년 10명 중 4명은 입사 6개월 전후로 회사를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충우 기자]
사진설명서울의 한 고용센터 게시판에 12일 정부의 청년일자리사업을 홍보하는 게시물이 부착돼 있다. 이 사업을 통해 채용된 청년 10명 중 4명은 입사 6개월 전후로 회사를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충우 기자]
정부의 청년일자리사업은 낮은 고용 유지율 외에 운영상의 문제점도 곳곳에서 드러냈다. 청년과 기업 모두에 유의미하지 않은 특정 직군에 채용 유형이 편중돼 있는 데다 기업의 채용 여력, 인력 수요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사업이 추진되면서 일부 사업의 목표 달성률이 50% 아래에 머물고 있다.

12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2020 회계연도 결산 분석'에 따르면 올해 청년 디지털 일자리 채용 유형은 '콘텐츠 기획 유형'이 66.3%로 대다수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빅데이터 활용 유형은 17.3%에 그쳤다.

콘텐츠 기획 직무는 회사 홈페이지·유튜브·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 분야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직무다.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앱) 개발, 빅데이터 분석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직무인 '빅데이터 활용'에 비해 업무 난도가 낮고 기업의 장기적 업무 역량 개선에 기여하는 정도도 낮다. 청년 입장에서도 '빅데이터 활용' 직무가 정보기술(IT) 관련 내실 있는 실무 경험을 쌓기에 적합하지만 채용 인원 10명 중 7명꼴로 SNS 홍보·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예정처는 "고용노동부는 청년이 내실 있는 IT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분야에 채용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각 부처에서 수행하는 디지털 일자리 특화 분야 사업의 경우 구직자의 선호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이고, 산업계 수요에 맞지 않게 설계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예를 들어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에서 추진한 '청년 디지털 일자리' 특화 사업의 경우 농어촌 지역 원거리 출퇴근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채용 실적이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참여 기업 중 영세 사업장의 경우 단기 채용을 선호하고 있지만 청년은 장기 근무를 원하는 등 노동력 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치도 사업 추진에 장애물로 작용했다. 그 결과 지난해 각 부처의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 특화 분야 30개 사업 중 9개 사업은 목표 채용 인원 대비 실제 채용 인원이 70%에 미달했다.

청년 일경험 지원 사업도 상황은 비슷하다. 지난해 이 사업의 목표 지원 인원은 5만명이었으나 실제 채용 인원은 2만4277명으로 목표 대비 48.5% 수준에 그쳤다. 채용된 인원에 대한 지원금 평균 지급 기간은 약 4개월로 최대 지원 기간(6개월)의 69.2% 수준이다. 이 사업이 2개월 이상 근무하는 청년들의 인건비 등을 지원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만큼 단기 참여자가 많았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

특히 일경험지원사업의 부처별 특화 분야는 실제 채용 인원이 1600명에 그쳐 목표 인원(6250명) 대비 달성률이 25.6%에 그쳤다. 세부 사업별로도 목표 인원 대비 실제 채용 인원 비율이 70%를 웃도는 사업은 13개 사업 중 4개 사업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부처가 추천한 협회·단체를 통해 참여 기업 수요를 발굴했다고 하지만 실효성은 미미했던 셈이다.

[김희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block test (Why?)

소스 뉴스 및 더 읽기 ( [단독] "페북관리 하라고 8천억 쏟아부은 꼴?"…청년 5만명 채용 디지털일자리 논란 - 매일경제 )
https://ift.tt/3fYeL4e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단독] "페북관리 하라고 8천억 쏟아부은 꼴?"…청년 5만명 채용 디지털일자리 논란 - 매일경제"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