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태양광 보조금' 年 3000만원씩 벌어간 가짜 농부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AA.26271518.1.jpg)
서울에서 사업을 하는 50대 B씨는 90세 노모 이름으로 2019년부터 전남 고흥에서 태양광발전소 사업을 하고 있다. B씨 역시 지난해 이 태양광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한국전력 발전자회사에 팔아 3000만원 넘게 벌었다.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은 A씨와 B씨처럼 편법으로 태양광발전 사업을 하는 사람이 상당수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6일 밝혔다. 윤 의원은 한국에너지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토대로 한전의 6개 발전자회사가 소규모 태양광사업자에게 지급한 금액이 2018년 22억4700만원에서 2019년 529억2800만원, 지난해 2219억4300만원으로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확한 액수를 추산하기는 어렵지만 이 가운데 적잖은 금액이 소규모 태양광발전사업자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지급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2018년부터 소규모 태양광발전사업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한국수력원자력 남동발전 남부발전 서부발전 동서발전 중부발전 등 6개 한전 자회사가 20년간 고정된 가격으로 매입하는 방식이다.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의 1.2~1.5배를 지급한다. 농민에겐 일반사업자(30㎾ 미만)의 세 배가 넘는 100㎾까지 허용해 줘 편법을 부추긴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정부 '소형 태양광 보조금 사업' 탈·편법 난무
![[단독] '태양광 보조금' 年 3000만원씩 벌어간 가짜 농부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AA.26271486.1.jpg)
6개 한전 발전자회사는 신재생에너지 육성을 위해 전체 발전량의 일정 비중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만들어진 전력으로 채워야 한다. 올해 이 비중은 9%다. 한국은 이제까지 석탄발전과 원전 중심으로 전력을 생산했다. 의무 비중을 맞추려다 보니 태양광 등을 급속히 늘릴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소형 태양광 사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기로 했다. 시장 가격보다 1.2~1.5배의 가격으로 전력을 사주기로 했다. 또 농민, 어업인, 축산농가, 협동조합 등에는 일반 사업자(30㎾ 미만)보다 세 배 이상(100㎾ 미만)의 태양광 사업을 해도 전력을 매입하기로 했다. 더불어 한 번 계약을 하면 20년간 고정가격으로 산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이 보조금 사업이 ‘20년짜리 복권’으로 불리고 있다. 주무부처인 산업부는 애초 이 제도 도입에 반대했다. 태양광 사업자가 난립하고 재정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를 알아챈 일부 도시민은 소형태양광 지원 사업이 일반사업자(30㎾ 미만)보다 농부(100㎾ 미만)에게 혜택이 크다는 점을 노렸다. 또 농민은 농협에서 설비자금 대부분을 대출로 충당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했다.
서울의 20대 여성 A씨도 이 같은 사례다. 허술한 농민 인증 제도를 활용해 농민이 됐다. 마을 이장에게 얘기만 잘하거나 친인척을 동원하면 ‘경작사실확인서’를 발급받는 것은 문제가 아니었다. 신도시 예정지 농지 투기와 다를 바 없었다.
가짜 축사 등 가건물을 세우고 태양광 사업을 하는 사람들도 적잖다. 정모씨는 ‘무늬만 버섯농장’을 만들고 그 위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세워 정부 보조금을 받고 있다. 노모의 명의로 태양광 사업을 하는 사람도 상당수다. 정부와 한전 자회사들이 엄밀히 검증한다면 모두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할 것이라고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은 지적했다.
중복 투자도 횡행한다. 농촌에선 이를 ‘쪼개기’라고 한다. 한 태양광사업협동조합은 79개 소규모 발전소를 운영하면서 지난해 약 1억원의 보조금을 타냈다. 다른 협동조합은 15개 태양광발전소를 운영해 보조금만 1억2400만원을 챙겼다. 1~2개의 대형 사업을 할 수 있지만 이 경우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는 점을 활용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산업부는 뒤늦게 제도 개선에 나섰다. 올해부터 태양광 쪼개기를 막기 위해서 일반사업자는 3개, 협동조합은 5개까지만 태양광발전소를 운영할 수 있도록 규정을 바꿨다. 소형 태양광발전 사업자에 대한 구매단가도 이전보다 낮추고 있다. 하지만 소급적용은 안된다. 한 에너지 전문가는 “한국형 FIT가 돈 먹는 하마가 되면 결국 전기요금 인상으로 충당될 수밖에 없다”며 “불법 사례를 뿌리 뽑아야 제도가 순기능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지훈 기자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s://ift.tt/33nbCUO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태양광 보조금' 年 3000만원씩 벌어간 가짜 농부들 - 한국경제"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