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하루 1700그릇 팔렸다…미국인 줄세운 'K푸드'의 정체 - 한국경제

美서 급성장하는 CUPBOP

2013년 작은 푸드트럭으로 출발
SNS로 적극 소통하며 입소문
한국음식 철저히 현지화해 성공

올해 미국내 25개 매장 추가
송정훈 대표 "美전국 브랜드 목표
중국 판다익스프레스 잡을 것"

“컵밥 주세요” 한국식 바비큐 덮밥을 파는 CUPBOP이 미국 유타주 소도시인 세인트조지에 42번째 매장을 연 지난 14일 미국인들이 개점을 기다리며 줄을 서 있다. 이날 줄은 개점 한 시간 반 전인 오전 9시 반부터 문을 닫은 오후 9시 반까지 끊이지 않았다. 김재후 기자

“컵밥 주세요” 한국식 바비큐 덮밥을 파는 CUPBOP이 미국 유타주 소도시인 세인트조지에 42번째 매장을 연 지난 14일 미국인들이 개점을 기다리며 줄을 서 있다. 이날 줄은 개점 한 시간 반 전인 오전 9시 반부터 문을 닫은 오후 9시 반까지 끊이지 않았다. 김재후 기자

“파이브, 포, 스리, 투, 원, 웰컴!” 지난 14일 오전 11시(현지시간) 미국 유타주 세인트조지에 있는 70㎡가량의 가게에 힘찬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9시30분부터 줄을 선 미국인 손님들을 맞이하는 인사였다. 길게 늘어선 인파 위로 걸려 있는 식당 간판엔 영문뿐 아니라 한글로도 ‘컵밥’이라고 적혀 있었다. 이 가게는 미국에서 한국식 바비큐 덮밥을 파는 ‘CUPBOP’의 42번째 매장(푸드트럭·경기장 포함)이다.
○비보이에서 컵밥 회사 대표로
하루 1700그릇 팔렸다…미국인 줄세운 'K푸드'의 정체
이날 팔린 컵밥만 1700그릇이었다. 8만여 명의 주민 중 90%가 백인과 히스패닉인 소도시에서 거둔 첫날 실적치고는 괜찮은 편이었다는 평가다. 하지만 송정훈 대표(사진)는 “하루 종일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아 배달 주문을 처리하지 못했는데 이것만 해결됐더라면 훨씬 많이 팔았을 것”이라며 “더 작은 도시에서 개업한 날 2300그릇을 판 적도 있다”고 소개했다.

CUPBOP의 매출은 매년 뛰고 있다. 송 대표가 1만2000달러를 들고 유타주 솔트레이크 시내 작은 푸드트럭에서 컵밥 사업을 시작한 이후 한 해도 예외가 없었다. 2019년엔 매출 1000만달러(약 112억원)를 돌파했고 지난해엔 1200만달러를 올렸다. 컵밥 인기가 치솟자 송 대표는 유타 인근주인 콜로라도와 아이다호, 네바다로 진출했다. 직원도 350명으로 늘렸다. 창업 7년여 만에 미국 중서부의 대표적인 아시아 식당이 된 것이다.

송 대표는 이날 작은 개업 이벤트를 마련했다. 폐점시간인 오후 9시30분까지 대기 손님들과 춤 대결을 벌이며 청소년 시절부터 다진 춤 실력을 뽐냈다. 그는 1996년 한국에서 열린 한 댄스대회에서 금상을 받은 비보이 출신이다.

그러다 군대를 전역한 2003년 인생 행로를 틀었다. 친누나가 있던 유타로 단기 유학을 떠난 때다. 처음엔 6개월만 있으려 했지만 레스토랑 아르바이트 등을 하며 더 머물기로 결심했다. “이렇게 허무하게 돌아가선 안 된다”며 영어라도 배우자는 생각이었다. 이때 유타 지역에 유난히 많은 푸드트럭이 눈에 들어왔다. 미국에 없는 한식 푸드트럭을 하면 승산이 있을 것으로 봤다. 마침 한국 TV프로그램에서 사람들이 노량진 컵밥에 열광하는 모습을 보고 성공을 자신했다.

송 대표는 “미국 식당에선 주문 후 20~30분은 기다리는 걸 당연하게 생각하지만 사실 패스트푸드가 번성한 곳도 미국”이라며 “한국 특유의 ‘빨리빨리’ 문화가 미국에서도 먹힐 수 있겠다 싶었는데 적중했다”고 했다.

○소통·단순화·현지화가 성공 비결
하루 1700그릇 팔렸다…미국인 줄세운 'K푸드'의 정체
송 대표는 CUPBOP의 고속 성장 비결을 세 가지로 꼽았다. 소통과 단순화, 현지화다. 그는 “식당에서도 친해지고 싶어 하는 미국인의 특성을 파악하고 두 번 이상 오는 손님의 입맛을 기억해주며 반갑게 인사했다”고 말했다. 이런 방법으로 끌어들인 손님은 온라인 마케팅으로 연결시켰다. CUPBOP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의 팔로어는 6만 명에 이른다.

송 대표는 점포별로 셰프를 두지 않았다. 잡채, 불고기, 제육, 치킨 컵밥 등을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도록 조리법을 단순화한 덕분이다. 동시에 테이크아웃에 주력하며 손님들의 대기 시간을 줄였다. 메뉴는 철저히 현지 맞춤형으로 바꿨다. 불고기는 미국인이 좋아하는 스테이크 형태로 두껍게 바꾸고, 제육과 잡채는 간을 줄였다. 대신 미국 소스로 매운맛을 개발해 1~10단계로 나눠 손님 요청에 따라 컵밥 위에 얹었다. 한 손으로 들고 먹기 쉽게 컵밥 크기도 24온스짜리로 통일했다. CUPBOP이 유타대학의 농구·미식축구 경기장과 미국프로농구(NBA)팀인 유타재즈 경기장에 입점할 수 있었던 이유다.

송 대표는 “올해 미국에서 25개 점을 더 낼 것”이라고 했다. 올해 매출 목표도 2000만달러로 잡았다. 나아가 CUPBOP을 중서부만이 아니라 미국 전역의 브랜드로 키우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그는 “컵밥을 미국에서 피자 햄버거 핫도그보다 더 많이 팔리는 음식으로 만들겠다”며 “우선 유명 중국 음식 브랜드인 ‘판다익스프레스’부터 잡고 싶다”고 말했다.

세인트조지=김재후 특파원 hu@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t's block ads! (Why?)

소스 뉴스 및 더 읽기 ( 하루 1700그릇 팔렸다…미국인 줄세운 'K푸드'의 정체 - 한국경제 )
https://ift.tt/3uUhiRZ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하루 1700그릇 팔렸다…미국인 줄세운 'K푸드'의 정체 - 한국경제"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