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은영 기자] 미국 애플의 최신 스마트폰 아이폰12의 구성 부품 중 한국 부품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졌다. 부품 경쟁에서 밀려나고 있는 일본은 "아이폰11 때보다 일본과의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라고 우려를 표시했다.
21일 일본 외신의 보도에 따르면 아이폰12의 제조원가는 373달러(약 41만6640원)로 추정되는데, 이중 한국 부품은 27.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해 발매한 아이폰11과 비교해 9.1%p 높아진 수치다. 같은 기간 미국 부품 비중은 25.6%로 0.2%p하락했고, 일본 부품의 비중은 13.2%로 0.6%p떨어졌다. 중국 부품은 4.7%를 차지했다.
아이폰12의 한국 부품 의존도가 커진 것은 디스플레이의 영향이 컸다. 애플은 화상을 더욱 선명하게 보여주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OLED·올레드)을 아이폰12의 디스플레이로 결정하고 삼성전자 제품을 채택했다.
아이폰12에 사용된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가격은 1장에 70달러, 삼성전자가 공급한 플래시메모리 가격은 19.2달러로 추정된다. SK하이닉스가 납품한 D램 가격은 12.8달러 수준으로 추정됐다.
이에 그동안 애플에 LCD(액정표시장치) 패널을 납품했던 일본 업체 저팬디스플레이(JDI)는 아이폰12 시리즈가 OLED로 변경된 이후 부품 기여도가 '제로(0)'가 됐다.
일본 외신은 "애플 스마트폰 부품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일본과의 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며 "일본이 강점을 가지는 분야가 점점 제한되고 있다"라고 전했다.
또한 "OLED 개발은 소니, 파나소닉 등 일본기업이 앞섰지만 이후 투자 경쟁에서 쫓아가지 못해 한국 기업의 독무대가 됐다"라고 평가했다.
최은영 인턴기자 cey121481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나한아 기자]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언급하며 고(故) 최인훈의 소설 '광장'을 봤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유 이사장은 20일 도서 비평 유튜브 방송 '알릴레오 시즌 3'에서 "(최인훈 소설 '광장'의) 북한에 대한 묘사는 인간의 개별성을 말살하는 시스템과 문화, 관습에 관한 이야기"라며 "김정은 위원장도 이 소설을 봤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유 이사장은 '그들의 얼굴에는 아무 울림도 없었다. 혁명의 공화국에 사는 열기 띤 시민의 얼굴이 아니었다'라는 소설 '광장'의 구절에 대해 "거의 예언서"라고 말했다.
이어 "남한은 자기가 마음먹으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자기 개별성을 살려 나갈 수 있는 체제"라며 "심지어 부패하고 싶은 사람은 부패할 자유도 있는 자유로운 광장"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 이사장은 최 작가가 현대사 최고의 명문장으로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를 뽑은 것을 두고 "우리 현대사에 그렇게 많은 국민들이 문장을 통째로 외우는 경우가 별로 없다"라며 동의했다.
나한아 인턴기자 skgksdk9115@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국 라면 인기 지도…신라면·짜파게티·안성탕면 톱 3위 올라
신라면 맹활약, K푸드 위상↑…농심 해외 매출 사상 최고 '10억 달러'
위기에 강한 식품 증명…3분기 라면시장 1조6500억 '역대 최고'
[아시아경제 이선애 기자]라면 입맛은 전혀 바뀌지 않았다. 국내 2위 라면 기업 오뚜기가 ‘갓뚜기’로 불리면서 거센 추격에 나섰지만 소비자들의 입맛은 1위 기업 농심의 신라면과 짜파게티, 안성탕면을 선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넘사벽 1위 신라면
21일 닐슨코리아가 올해 3분기까지의 지역별 라면 매출을 집계한 결과, 신라면이 전국 점유율 1위를 차지했고 짜파게티, 안성탕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어 진라면매운맛, 팔도비빔면 등 제품 순으로 전국 매출 톱 5위를 형성했다. 이들 제품은 각 사를 대표하는 1등 브랜드다.
올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라면은 단연 신라면이다. 신라면은 9.9%의 점유율로 전국 1위에 올랐다. 신라면은 라면시장을 대표하는1위 브랜드로, 특유의 얼큰한 국물과 쫄깃한 면발로 출시(1986년) 이후 1991년부터 현재까지 30년째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신라면 팬이 특히 많은 지역은 충청북도로, 점유율 12.9%를 기록하며 전국 최고치를 보였다. 신라면의 대중적인 인기와 오랜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맛이 충청도민들에게 어필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국 2위는 짜파구리 신드롬의 주역 짜파게티다. 짜파게티는 지난해보다 0.6%p가 늘어난 점유율 7.1%를 기록하며 상승세가 돋보였다.
짜파게티는 짜파구리 열풍에 힘입어 라면시장에서 가장 핫한 아이템으로 불리며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2위를 차지했다.
라면시장 규모 2조원 돌파
올해 국내 라면시장은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특수를 만나면서 3분기까지 약 1조6500억원의 규모를 보였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5.1% 성장한 것으로 역대 최고치다.
올 상반기까지도 국내 라면시장은 전년 대비 7.2%가 늘어난 약 1조1300억원 규모를 보이며, 반기 실적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달성했다. 2조원대에서 횡보하는 라면시장에서 이 같은 반짝 성장은 ‘위기에 강한 식품’ 이라는 라면의 특징을 또 한번 증명했다.
통상 날씨가 쌀쌀해지는 11월, 12월 라면 성수기를 고려한다면 연말까지 2018년 세운 최대 규모(2조930억원)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농심은 올 3분기까지 약 55.4%의 점유율(전년 대비 1.4%p ↑)을 기록했다. 신라면을 비롯해 짜파게티, 안성탕면, 너구리 등 스테디셀러들의 활약이 주효했다. 오뚜기와 삼양식품, 팔도는 지난해보다 소폭 하락하거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농심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정체된 라면시장이 특수를 보였고 대부분 신라면, 짜파게티, 안성탕면, 너구리 등 농심 인기제품들로 매출이 집중됐다”고 평가했다.
농심, 10억달러 매출·세계 5위
농심이 전 세계 라면 기업 순위 5위에 올랐다. 유로모니터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농심은 지난해 한국 기업으로는 최초로 5.3%의 점유율로 세계 라면 기업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는 5.7%의 점유율로 6위와의 격차를 더욱 벌리며 5위 수성이 확실시된다. 농심은 최근 가파르게 성장하는 해외 매출이 농심의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문경선 유로모니터코리아 총괄연구원은 “코로나19로 해외에서 라면 수요가 늘어났는데, 농심이 이 기회를 잘 살려 각국 시장을 깊숙이 파고들었다”면서 “이러한 움직임은 라면이 전형적인 일본과 중국의 음식이라고 알고 있던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게 됐다” 며 농심 라면의 인기를 설명했다.
농심의 올해 해외 총 매출액은 전년 대비 24% 성장한 9억9000만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신라면의 활약과 짜파구리 인기, 코로나19 등의 영향이 최대 실적을 견인했다.
신라면은 농심 해외사업의 핵심이다. 올해 신라면 브랜드의 해외 매출은 전년 대비 30% 성장한 약 3억9000만달러로 예상된다. 농심 해외 사업의 40% 가량을 홀로 담당할 만큼 독보적인 존재감을 갖고 있다. 한국을 넘어 글로벌 식품 메이커들과 경쟁을 벌이는 원조 K푸드다.
농심은 “신라면의 매운맛은 한국을 넘어 전 세계를 울리고 있다”며 “출시 35년을 맞는 내년에는 연매출 1조원의 메가 브랜드로 성장해 K푸드의 위상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농심은 내년 해외사업 매출 목표를 올해보다 12% 높은 11억1000만달러로 잡았다.
지역 특색 라면 안성탕면·삼양라면
신라면이 유일하게 1위를 차지하지 못한 지역, 바로 부산과 경남이다. 안성탕면은 부산, 경남지역에서 1위, 경북지역에서 2위를 차지하며 경상도에서 유독 강한 면모를 보여줬다. 이는 된장 맛을 선호하는 경상도 소비자들이 구수한 우거지장국 맛의 안성탕면을 선호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안성탕면은 소고기를 우린 육수에 된장과 고춧가루가 어우러져 구수하면서도 얼큰한 우거지장국의 맛을 살린 제품이다.
전라도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삼양라면이 돋보였다. 삼양라면은 전북과 전남에서 순위권(3위)에 들었다.(전라북도 4.5%, 전라남도 5.6%) 전라도 지역은 상대적으로 매운 맛의 강도가 낮은 삼양라면이 이 지역의 다양한 음식과 잘 어우러지는 특징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호남에서 생산공장을 가동하고 있는 삼양식품에 대한 친근감도 작용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군부대가 많고 각종 레저와 휴양시설이 밀집한 강원도 지역은 간식 혹은 간단한 요기에 편리한 용기면 육개장사발면이 3위를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오뚜기는 수도권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다. 진라면 매운맛은 서울과 경기, 충북 지역에서 4%대의 점유율로 3위를 차지했다.
이선애 기자 lsa@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https://ift.tt/395HG3Q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아이폰12' 팔릴 때마다 日 울고 韓 웃는다?…'한일 격차 더 벌어졌다' - 아시아경제"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