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중국, 전력 불안정한 개도국 겨냥 '교환형 배터리'로 시장 선점 노려 - 시사경제신문

"전기차 초기비용 부담 낮출 수 있다"
중국 블루파크스마트에너지(BPSE)의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BPSE
중국 블루파크스마트에너지(BPSE)의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BPSE

한국자동차연구원이 향후 중국이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 사업을 통해 일부 개발도상국 전기차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29일 '중국의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와 그 가능성' 산업동향 보고서를 통해 "중국이 충전 인프라가 미비한 국가에 전기차와 배터리 교환형 사업 모델을 패키지로 수출해 경쟁국에 대한 진입장벽을 세울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은 코로나19 확산 직후부터 기업·정부 합작으로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중국 국무원은 '전기차 배터리 교환소 권장방침'을 내놨다. 작년 말 기준 중국 전역에 555개의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이 설치됐다.

자동차연구원은 "전력 공급이 불안정한 개발도상국에서는 소비자가 직접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보다 교체 받는 방식이 더 합리적일 수 있다"설명했다.

이에 따라 "중국의 배터리 교환 시스템이 표준으로 자리 잡으면 소비자들이 배터리 호환성이 없는 다른 전기차를 외면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해당 사업의 장점은 전기차 초기 구매 비용 부담을 줄이고, 빠르게 완전 충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배터리 수명이나 성능 저하 등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소비자는 전기차 원가에서 절반가량에 해당하는 배터리 비용을 제외한 가격으로 차량을 구매하고, 배터리 교환 서비스 기업으로부터 배터리를 구독하면 된다.

하지만, 자동차연구원은 "0장점을 상쇄할 정도의 기술적·경제적·문화적인 장애 요소도 있다"고 꼬집었다.

배터리 교환 설비와 유지 비용을 고려하면 충분한 이용률이 유지되어야 하지만, 충전 속도와 배터리 용량 개선 등으로 이용자가 감소하면 수익성이 악화한다.

또한 “배터리를 교환을 위한 표준규격의 제약으로 배터리 성능 개선 등의 기술적 시도가 어려워질 수 있다”며, "배터리셀-차대 통합 기술이 실현되면 사업 경쟁력이 하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자동차연구원은 “배터리가 내 소유가 아니라는 사실이 소비자의 심리적 불만족을 가져올 수 있다”며 “배터리를 포함해 신차를 구매한 소비자가 중고 배터리로의 교체를 꺼릴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자동차연구원은 "중국이 해당 사업을 추진하는 배경은 전기차 대중화를 가속화하고, 교환 스테이션을 활용해 전력 수급을 안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글로벌 완성차 업계는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 관련 사업화는 속도를 내지 못한 상황이다. 앞서 르노, 테슬라 등도 이와 유사한 사업모델을 추진했었으나, 본격적인 사업화엔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사경제신문=서경영 기자]

Let's block ads! (Why?)

소스 뉴스 및 더 읽기 ( 중국, 전력 불안정한 개도국 겨냥 '교환형 배터리'로 시장 선점 노려 - 시사경제신문 )
https://ift.tt/3cwBYJG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중국, 전력 불안정한 개도국 겨냥 '교환형 배터리'로 시장 선점 노려 - 시사경제신문"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